칼럼 목차

제목 : 한국어, 2026 아비뇽 페스티벌 공식 초청 언어로 선정

한국어, 2026 아비뇽 페스티벌 공식 초청 언어로 선정

2025년 7월 23일

아비뇽 페스티벌에서의 관계자들 사진

한국어가 세계 최대 공연 예술 행사인 프랑스 아비뇽 페스티벌의 내년 공식 초청 언어로 선정됐다. 사진은 페스티벌 예술 감독 티아고 로드리게스(왼쪽), 한국문화예술위원회(KAMS) 김장호 대표(왼쪽 두 번째), 서울국제공연예술제 관계자들이다. (KAMS)

글: 윤소정

세계 최대의 공연 예술 축제인 프랑스 아비뇽 페스티벌이 내년 행사의 공식 초청 언어로 한국어를 선정했다.

페스티벌 조직위원회는 7월 22일 공식 페이스북에서 이 사실을 발표하며 “영어, 스페인어, 아랍어에 이어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아시아 언어를 아비뇽 페스티벌이 초청한다”고 밝혔다.

“한국의 문화는 전 세계를 매료시킨다. K-팝, 영화, 드라마, 문학… 하지만 이러한 소프트파워를 넘어, 우리는 한국 공연 예술의 풍요로움을 알리고자 한다”고 전했다.

지난 7월 21일 아비뇽에서 페스티벌 감독 티아고 로드리게스와 KAMS 김장호 대표, 서울국제공연예술제 최규 예술감독 간 초청 언어 프로그램 협약 서명식이 열렸다. KAMS는 프랑스 페스티벌의 초청 언어 프로그램 공식 파트너 기관으로 협약을 체결했다.

KAMS는 “아시아 지역 최초, 단일 민족 국가 최초의 선정”이라며 “한국 공연 예술의 국제적 위상을 평가할 수 있는 의미 있는 결과”라고 말했다.

1947년 프랑스 배우 겸 연출가 장 빌라르가 시작한 아비뇽 페스티벌은 유럽 최대의 행사로, 매년 10만 명이 넘는 관객을 끌어들인다. 예술가들에게는 세계무대 진출의 관문으로 여겨진다.

페스티벌의 초청 언어 프로그램은 선정 언어의 예술과 문화를 조명한다. 로드리게스 감독이 프로젝트로 도입한 이 프로그램에는 그동안 영어(2023), 스페인어(2024), 아랍어(2025)가 있었다.

KAMS는 내년 페스티벌에서 한국 공연 예술을 알리기 위한 다양한 프로젝트를 계획 중이다. 한국 연극, 무용, 공연예술 작품의 공식 초청, 문학·영화·시각예술과의 협업, 예술가와의 토크 및 문화 포럼, 한국어의 정체성을 주제로 한 한국관 운영 등을 준비할 예정이다.

KAMS는 “많은 한국 작품이 아비뇽 페스티벌의 중심인 공식 초청 프로그램에 오를 것”이라며 “자발적 참여 형식의 ‘오프’ 프로그램과 달리, 공식 초청은 주최 측의 엄격한 심사를 거쳐 선정된다”고 밝혔다.

한국 작품이 공식 프로그램에 초청되는 것은 1998년 ‘아시아의 욕망’ 프로젝트 이후 28년 만에 처음이다.

arete@korea.kr

원문 보러가기

무료 PDF

지금 당장 시작할 수 있는 수익화 모델 10가지

돈 쓸어담는 뉴스레터 마케팅! 나도 해볼까?